■ 박주근 / CEO 스코어 대표<br /><br />[앵커]<br />매주 목요일, 한 주간의 재계와 주요 CEO 동향 살펴보는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부터 이 코너를 CEO스코어 박주근 대표가 맡게 됐습니다. 이번 주의 재계의 화제는 단연 박영수 특검이 청구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구속영장 기각이죠.<br /><br />이번 특검에서 재계 총수로는 구속영장 청구가 처음이었기 때문에 비상한 관심을 끌었죠?<br /><br />[인터뷰]<br />지난 12일 특검에 피의자 신분으로 출석해 22시간의 조사를 받은 뒤 3일 만에 구속영장이 청구됐는데요.<br /><br />박영수 특별검사팀은 삼성이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 등 이 부회장의 이익을 위해 약 430억 원의 뇌물을 박근혜 대통령과 최순실 씨에게 줬다고 판단한 것 같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새벽 구속영장이 기각되긴 했지만, 특검의 이러한 주장은 앞으로 재판 과정에서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우선 이번 사건에서 이 부회장이 왜 여러 의혹이 제기될 만한 무리수를 쓰면서까지 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을 추진해야 했는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삼성그룹의 지배구조는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봐야 합니다.<br /> <br />삼성전자의 안정적인 경영권확보를 위해서는 삼성전자의 지분을 확보해야 하는데 이를 삼성전자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는 삼성생명 혹은 삼성물산의 지배권 확보가 필요합니다. <br /><br />삼성생명의 지분은 이건희 회장이 20.8%, 삼성물산이 19.3%를 보유하고 있어 안정적인 경영권 확보가 되어 있는 상태이지만, <br /><br />삼성물산의 경우는 당시 삼성SDI가 최대주주로 되어 있어 삼성물산의 지분확보를 통해 삼성전자와 삼성생명의 지분확보가 가능한 구조였습니다.<br /><br />삼성그룹의 경영권 확보를 위해서는 삼성물산의 지분확보가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었고, 이를 추가적인 비용을 들이지 않고 하는 방법이 이미 시가총액이 더 높고 이 부회장의 지분율이 높은 제일모직과의 합병이었습니다. <br /><br />이런 이유와 이건희 회장이 쓰러졌다는 상황 때문에 합병을 늦출 수 없는 것이었습니다.<br /><br />삼성물산과 제일모직의 합병이 경영권승계의 중요한 과제였다면 지배구조 개편과 안정적 경영권 확보의 마무리는 인적분할 후 삼성전자의 투자부문과 삼성물산의 합병을 통한 것입니다. <br /><br />인적분할을 통한 지주사 형태의 지배구조 개편이 진행 중인 상황에서 특검의 수사와 오늘 영장 기각이 향후 그룹 지배구조 개편에 어떤 영향이 미칠지 관심이 집중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://www.ytn.co.kr/_pn/0490_20170119164708714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8585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유튜브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Ytb5SZ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